맹자명언 2

동양철학 주역 64괘 5편 [수천수 水天需 – 기다림을 견디는 사람의 운]

[수천수 水天需 – 기다림을 견디는 사람의 운]💧 왜 ‘기다림’은 선택이 아니라 흐름인가?『수천수(水天需)』는 위에는 물(水), 아래에는 하늘(天)이 있는 괘다.물이 하늘 위에 머무르며 흐르지 못하는 형상,즉 움직임이 멈춘 시간,기다림이 강요되는 운의 상태를 상징한다.이 괘는 말한다:지금은 행동이 아니라, 인내가 길을 만든다.《계사전》은 말한다:需者 飲食之道也。險在前也。剛健而不陷 其義不困窮矣。수(需)는 먹고 마시는 도리다.앞에 험함이 있으나 강건하고 꿋꿋하게 나아가지 않음으로써,마침내 곤궁하지 않게 된다.🌫 육효로 읽는 기다림의 단계– 효사 원문과 해석① 初九(초구)需于郊 利建侯교외에서 기다림이니, 제후를 세움이 이롭다.아직 중심에 도달하지 못한 시기.때는 무르익지 않았고,움직임은 오히려 혼란을 불러..

주역 64괘 2025.04.04

동양철학 주역 64괘 4편 [산수몽 山水蒙 – 혼란 속에서 길을 배우는 사람]

[산수몽 山水蒙 – 혼란 속에서 길을 배우는 사람]⛰ 세상을 모르고, 스스로도 모를 때산수몽은 왜 ‘무지’에서 시작하는가?산수몽(山水蒙)은 위에는 산(山), 아래는 물(水)이 있는 괘다.높고 무거운 산 아래, 가벼운 물이 흘러 나가지 못하고 갇힌 형상.길이 보이지 않고, 마음은 닫혀 있으며, 세상은 알 수 없다.이것이 곧 ‘몽(蒙)’이다.《계사전》은 말한다:蒙以養正 聖功也무지를 바르게 기르는 것, 그것이 성인의 일이다.즉, 산수몽은 ‘어리석음’을 문제 삼지 않는다.스스로 무지함을 아는 사람만이비로소 배움의 문 앞에 설 수 있다는 말이다. 📘 육효로 읽는 배움의 구조– 효사 원문과 해석① 初六(초육)發蒙 利用刑人 用說桎梏 以往吝무지를 일깨우려면, 벌을 써야 한다.속박을 풀어주는 데는 이롭지만, 나아가는 ..

주역 64괘 2025.04.04